Loading...

신도시, 신축 아파트, 개인 생각

지금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는 청약을 통해 분양받아서 들어온 신도시의 신축아파트다.20살에 군대를 다녀오고 집을 나와서 살면서 고시원, 원룸, 구축 다세대주택, 오래된 빌라를 거쳐서 처음 마련한 내집이었고 처음 거주한 아파트였다. 나는 이곳에서 두 아이를 가졌고 당시에는 몰랐던 아파트의 편안함을 누릴 수 있었다.(그전에 살았던 아파트는 너무 어릴때라 기억에 잘 없고 20살 이후로는 아파트에 살아본적 없음) 1. 신축이라 자재들이 전부 새거였고, 모든 시스템이 최신 이었으며 주차가 편리했다.   - 집에서 호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 자동탈수 싱크대   - 기본으로 달려있는 전체 환기 시스템   - 눈, 비, 날씨에 걱정없이 세대에 연결되어 있는 지하주차장   -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체크할 수 있는..

챗GPT&파이썬으로 AI 직원 만들기 중간정리2

기존작업 정리1. 가상환경https://mgun.tistory.com/5133 가상환경 관련 실수잘 되던 파일이 실행이 갑자기 안된다.특정 패키지를 찾을수 없으니 인스톨 하란다.잘 되던건데?자세히 보니 기존에는 가상환경에서 하던거고 지금은 아니네.이게 왜 이런걸까. 실제 파이썬 파mgun.tistory.com경로 : cd D:\study\python가상환경 활성화 : venv\Scripts\Activate.ps1  2. 기존 코드 체크https://mgun.tistory.com/5111youtubesearchpython 안 될 떄 pip install youtube-search-pythonyt_dlp 안 될 때 pip install yt-dlpcsv 파일 못 찾을떄 : 파일 위치 지정 cd D:\stud..

노후자금은 얼마나 필요할까? 개인생각 정리2

https://mgun.tistory.com/5117# 노후자금은 얼마나 필요할까? 개인생각 정리1문득 그런생각을 해 봤다.최근에 은퇴하고 집팔고 월세로 들어가서 투자로 월세를 벌고삶의 여유를 즐기는 지인이 있어 부러움에 나는 언제 그렇게 될까 고민을 해 봤다. 노후자금을 고민하기mgun.tistory.com 이전글에 이어 또 주저리주저리. 50~60세. 자식 부양으로 돈이 많이 들어가지만돈은 많이 벌기 힘든 시기.결국 재산 까먹는 시기.큰 돈은 언제 어디에 들어가는가?1. 대학     대학 학자금 : 평균 700정도. 1년에 두번. 1400    학기당 도서비 : 20, 1년에 두번    학교가 먼 경우 기숙사비 : 월 평균 33 (2인실일 경우 좀 저렴)2.  한달 대학생 평균 용돈 (현재 시세 기준..

2024. 9. 30. 00:39

가상환경 관련 실수

잘 되던 파일이 실행이 갑자기 안된다.특정 패키지를 찾을수 없으니 인스톨 하란다.잘 되던건데?자세히 보니 기존에는 가상환경에서 하던거고 지금은 아니네.이게 왜 이런걸까. 실제 파이썬 파일은 D:\study\python에 있다.해당 파이썬을 비쥬얼코드에 올려서 실행하면 터미널은 PS C:\Users\USER>에 있다.그래서 우선 경로를 바꿔줘야 한다.cd D:\study\python이렇게 하면 경로가 바뀜. 해당 경로에 미리 만들어둔 가상환경을 실행시킨다.venv\Scripts\Activate.ps1 실제 해당경로에 있어야 한다. 그런데 보안 어쩌고 저쩌고 오류가 난다?관리자 권한으로 하면 된다.1. 윈도우키 눌러서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2. get-executionpolicy 입력3...

2024. 9. 29. 20:58

거지같은 오피스텔

예전에 내가 미쳐버려서 오피스텔을 하나 분양받은적이 있다.그때 이주만에 정신차리고 해지하려고 했는데 계약금 500을 못 돌려주겠단다.그리고 왜 해지하려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나한테 뭐라고 하더라.그때 또 설득당해서 그냥 넘어가서 실제로 오피스텔을 분양받고 등기까지 쳤다.그때 취득세 4프로 책정되는거 아낀다고 주택임대사업자 받아서 취득세 어느정도 감면받고바로 500에 45 월세 맞췄다.지금 7년정도 줬고 지금은 500에 48로 맞춰져 있다.계산해 보자.복비도 있고 중간중간 수리비도 있고 세금도 있으니까 월세는 그냥 평균 45로 해서 계산해 보면45 x 12개월 x 7년 = 3780만원.여태까지 내가 1.2억정도 박아서(세금포함) 얻은 수익은 3780만원이다. 그런데. 그냥 이 1.2억을 예금으로 7년 박고 ..

저렴한 전세를 얻는 방법

이번에 전세를 얻게 되면서 터득한 방법.내가 원했던 전세의 최대치는 5.5억 이었다.이 5.5억을 다 써도 되지만, 다 안쓸수 있으면 좋고. 손익을 계산해 보자.1. 은행에서 이자 4%로 빌리때...(요즘 4퍼는 넘는것 같긴 하다만...)   천만원당 33333원. 1억당 대략 33.5정도 든다.    5.5억 전부 전세대출이라면 은행에 이자를 매달 184만원 정도를 내야한다.2. 나 5.5억을 보유하고 있어. 이걸 전세에 넣으면 나 무료아님?    이 5.5억을 cma에 넣어두면 이자가 대략 세후 1억당 25만원정도 나오고,    5.5억이면 매달 138만원정도 내 계좌에 쌓인다.    그것도 복리로 쌓인다. 개꿀.     즉, 내 현금보유엑 5.5를 전세에 넣어둔다고 해서 이자 184만원을 하나도 안..

이번에 이사를 준비하면서 알게 된 것.

사실 부동산에 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법한 내용이지만나는 몰랐던 내용. 대형 구축은 매매가 잘 되지 않는다. 현재 집을 매도하고 새 집을 매수하기 위해 여기저기 돌아다녀보고 임장해 보고,분명 위치는 좋은데. 집도 크고 좋은데 왜 40평이랑 50평이랑 60평이랑 70평이랑가격이 차이가 많이 나지 않을까?40평대가 평당 2천이라면 50평대는 평당 1800, 60평대는 평당 1600, 70평대는 평당 1400.평형대가 클수록 평당 가격이 저렴해 진다.분명 분양받았을 때는 평당 같은가격으로 쳤을텐데.사실 매수자 입장에서, 그리고 가족이 4인인 입장에서 국평이 좁다고 느껴지다보니큰평수를 고려해서 알아보고 있는 중이라 큰 평수가 저렴한게 좋긴 했는데...... 어느순간 왜 대형평수가 매물이 넘쳐날까를..

2024. 9. 29. 01:48

용적률과 건폐율

최근에 부동산을 보면서 리모델링, 재건축 관련 아파트들이 몇개 있어서 유심히 보고 있는데. 사업성이니 뭐니, 용적률이 어쩌고 저쩌고, 건폐율이~일단 용적률과 건폐율은 뭐야? 건폐율 :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넓이)용적률 : 대지면적에 대한 지하층을 제외한 지상층 면적합계의 비율(건물높이)  용적률이 높다는 말은....고층으로 지어진다는 의미.그럼 건설사는 더 많은 입주자를 받을 수 있어서 좋음. 건폐율이 높다는 말은....한 대지에 하나의 건물만 들어서진 않는다.보통 여러 건물이 들어서는데 모두 건폐율이 높다면 동간거리가 확 좁아진다. 그럼 용적률도 높고 건폐율도 높다면??고층 건물들과 좁은 동간거리로 인해 전망과 일조량이 안좋아 진다.좁은 공간, 빽빽한 건물, 그리고 제한된 자연광. (gpt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