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덕 아르테온
지난번에 24년 서울 아파트 거래순위 탑10을 조사한 바 있다.
서울에서 어느 아파트가 얼마나 거래가 되고 있는가?
https://rt.molit.go.kr/pt/xls/xls.do?mobileAt=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자료제공조건별 자료제공 이용시 유의사항 본 서비스에 제공하는 정보는 법적인 효력이 없으므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
mgun.tistory.com
그 개별 아파트들을 한번 살펴보자.
순위 10위권의 고덕 아르테온.
고덕 아르테온
고덕 아르테온은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에 위치한 대단지 아파트로, 2020년 2월에 입주를 시작하였습니다.
총 4,066세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 3층부터 지상 34층까지의 규모를 자랑합니다.
주요 평형대로는 전용면적 59㎡, 84㎡, 114㎡ 등이 있습니다.
고덕 아르테온은 서울 강동구 상일동에 위치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현대건설과 대림산업이 시공하였습니다.
총 4,066세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 3층부터 지상 34층까지의 규모를 자랑합니다.
주요 평형대로는 전용면적 59㎡, 84㎡, 114㎡ 등이 있습니다.
주변 환경 및 교통
단지는 지하철 5호선 상일동역과 인접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합니다.
또한, 강동구 일대를 운행하는 버스 정류장이 근처에 있어 입주민들의 출퇴근이 용이합니다.
학군 및 초등학교
단지 인근에는 고현초등학교(도보 1분), 배재중학교(1.7km),
한영고등학교(1.1km) 등이 위치해 있어 자녀들의 통학이 편리합니다.
분양가 정보
고덕 아르테온의 분양가는 전용면적과 층, 향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용면적 59㎡의 경우 분양가는 약 6억 1,697만 원에서 시작하였으며,
전용면적 84㎡는 약 8억 3,193만 원부터 시작하였습니다.
분양 이후 시세 흐름
고덕 아르테온의 분양 이후 시세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보였습니다:
- 2020년: 입주 초기에는 분양가 대비 소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2021년: 부동산 시장의 활황으로 인해 시세가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약 15억 원대까지 상승하였습니다. - 2022년: 시세 상승세가 지속되어 최고 약 17억 원대까지 도달하였으나,
하반기부터는 부동산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둔화되었습니다. - 2023년: 시세가 안정세를 보이며 약 16억 원대로 소폭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 2024년: 부동산 시장의 전반적인 조정으로 인해 시세가 약 15억 원대로 하락하였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고덕 아르테온 전용면적 84㎡의 연도별 시세 변동을 나타낸 것입니다:
연도시세 (억 원)
2020 | 10 |
2021 | 15 |
2022 | 17 |
2023 | 16 |
2024 | 15 |
참고: 위 시세는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정확한 최신 시세는
부동산 중개업소나 관련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투자 가치 평가
고덕 아르테온은 우수한 입지와 대단지 규모로 인해 실거주와 투자 측면에서 매력적인 단지로 평가됩니다.
특히, 지하철 5호선 상일동역과의 근접성으로 교통 편의성이 높으며, 주변에 다양한 생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어
생활 편의성이 우수합니다.
다만, 부동산 시장은 정책 변화와 경제 상황 등에 따라 변동성이 있으므로,
투자 시에는 최신 시장 동향을 면밀히 검토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다 상세한 정보는 고덕 아르테온의 공식 홈페이지나 부동산 관련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맞은편에 있는 고덕 그라시움도 보는김에 같이한번 보자.
고덕 그라시움 vs. 고덕 아르테온 비교 분석
고덕 그라시움과 고덕 아르테온은 강동구 고덕동과 상일동 일대에서 가장 큰 대단지 아파트로,
강동구 내에서도 프리미엄 단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두 단지는 모두 강동권 재건축 단지 중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며, 입주 이후 높은 시세 상승을 기록하였습니다.
1. 단지 개요 및 차이점
항목고덕 그라시움고덕 아르테온
위치 | 서울 강동구 고덕동 170번지 | 서울 강동구 상일동 126번지 |
입주 시기 | 2019년 9월 | 2020년 2월 |
세대수 | 4,932세대 (45개 동) | 4,066세대 (41개 동) |
층수 | 지하 3층 ~ 지상 35층 | 지하 3층 ~ 지상 34층 |
전용면적 | 59㎡ ~ 114㎡ | 59㎡ ~ 152㎡ |
건설사 | 현대건설, 대림산업 (DL이앤씨), 현대엔지니어링 | 현대건설, 대림산업 (DL이앤씨) |
난방 방식 | 지역난방 | 지역난방 |
특징 | 고덕주공2단지 재건축 단지, 강동권 랜드마크 | 고덕주공3단지 재건축 단지, 후발 주자지만 고급 설계 |
2. 교통 환경 및 차이점
항목고덕 그라시움고덕 아르테온
지하철 접근성 | 5호선 고덕역 도보 3~5분 | 5호선 상일동역 도보 5~7분 |
버스 노선 | 고덕역 및 인근에 다양한 노선 | 상일동역 및 인근 버스 노선 |
도로 접근성 |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접근 용이 | 서울외곽순환도로, 중부고속도로 접근 용이 |
➤ 차이점
- 고덕 그라시움은 고덕역이 가까워 강남 및 여의도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에게 더 유리함.
- 고덕 아르테온은 상일동역이 가깝지만, 서울외곽순환도로 및 중부고속도로 접근성이 좋아 차량 이용 시 강남, 하남, 판교 방면 이동이 더 편리함.
3. 학군 및 교육 환경
항목고덕 그라시움고덕 아르테온
초등학교 | 고덕초등학교 (도보 3분) | 고현초등학교 (단지 내) |
중학교 | 고덕중학교 | 배재중학교, 상일중학교 |
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한영고등학교 | 한영고등학교, 강동고등학교 |
➤ 차이점
- 고덕 그라시움: 고덕초, 배재고, 한영고 등 학군이 우수하고 학원가도 가까워 선호도가 높음.
- 고덕 아르테온: 고현초가 단지 내 위치해 있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가구에 유리함.
4. 분양가 및 분양 이후 시세 흐름
연도고덕 그라시움 (전용 84㎡)고덕 아르테온 (전용 84㎡)
2019년 (입주 당시) | 8억 원 | - |
2020년 (입주 당시) | 10억 원 | 10억 원 |
2021년 (상승기) | 15억 원 | 15억 원 |
2022년 (최고점) | 17억 원 | 17억 원 |
2023년 (하락기) | 16억 원 | 16억 원 |
2024년 (현재 시세) | 15억 원 | 15억 원 |
➤ 차이점
- 초기 분양가는 비슷했으나, 고덕 그라시움이 먼저 입주하여 빠른 시세 상승을 경험.
- 현재는 두 단지의 시세 차이가 거의 없으며, 비슷한 수준을 유지.
5. 주요 특징 및 장점 비교
항목고덕 그라시움고덕 아르테온
입지 | 5호선 고덕역과 가까워 교통 편리 | 상일동역 접근 가능, 도로망 발달 |
학군 | 초·중·고 학군 우수, 학원가 접근성 좋음 | 초등학교 단지 내 위치 |
생활 인프라 | 대형마트(이마트), 병원, 상업시설 인접 | 비즈밸리, 이케아, 스타필드 조성 예정 |
커뮤니티 시설 | 피트니스센터, 사우나, 도서관, 키즈카페 등 | 피트니스센터, 실내골프연습장, 독서실 등 |
단지 조경 | 넓은 조경과 산책로, 쾌적한 환경 | 단지 내 수변공원 및 다양한 녹지공간 |
➤ 차이점
- 고덕 그라시움은 입지가 뛰어나고, 기존 상업시설과 학원가와 가깝다.
- 고덕 아르테온은 신규 개발지로 주변 환경이 새롭고, 미래가치가 크다.
6. 투자 가치 평가
투자 가치 요소고덕 그라시움고덕 아르테온
입지 프리미엄 | 이미 형성된 상권과 교통망 | 신흥 개발 지역, 미래 가치 |
향후 시세 전망 | 안정적인 시세 유지 | 개발 완료 시 추가 상승 가능 |
거주 선호도 | 학군 및 인프라 우수, 실거주 인기 높음 | 쾌적한 환경과 신규 시설 매력 |
➤ 투자 가치 결론
- 단기 투자(3년 이내):
- 고덕 그라시움이 학군과 생활 인프라가 이미 완비되어 있어 안정적인 투자처.
- 장기 투자(5년 이상):
- 고덕 아르테온이 상일동 비즈밸리 개발, 9호선 연장 등의 호재로 인해 추가적인 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음.
7. 결론
- 실거주 목적이라면 고덕 그라시움이 학군과 교통 측면에서 더 유리함.
- 장기 투자라면 개발이 진행 중인 고덕 아르테온이 미래 가치가 클 가능성이 높음.
- 현재 시세 기준으로 두 단지의 가격이 비슷하므로, 실거주 여부 및 투자 목적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좋음.
'My Life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림픽 훼밀리타운 (0) | 2025.01.30 |
---|---|
센트라스 (1) | 2025.01.30 |
서울 영끌족 전고점, 실거래가. (2) | 2024.12.31 |
서울시 알아보기 (0) | 2024.12.16 |
경기도 지역의 근로자 평균 연봉과 거주자 평균연봉 (1)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