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역의 근로자 평균 연봉과 거주자 평균연봉
반응형
1. 근로자 연봉
- 정의:
- 해당 지역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직장인)**의 평균 연봉입니다.
- 지역에 소재한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고용된 사람들의 소득을 기준으로 집계됩니다.
- 특징:
- 지역 내 산업 및 직종 구조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 기업 본사가 많은 지역(예: 과천시, 성남시)은 근로자 연봉이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 공단이나 제조업 중심 지역(예: 화성시, 평택시)은 근로자 연봉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 예시:
- 과천시는 IT 및 대기업 본사가 밀집해 있어 근로자 연봉이 높은 편입니다.
- 동두천시나 포천시는 산업 기반이 약해 평균 근로자 연봉이 낮게 나타납니다.
2. 거주자 연봉
- 정의:
-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평균 소득입니다.
- 주민등록 기준으로 해당 지역에 주소를 두고 있는 사람들의 소득을 포함합니다.
- 특징:
- 주거 선호도 및 인구 구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 특정 지역에 고소득 근로자가 많이 거주하면 거주자 연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주거 선호도가 높은 하남시나 광명시는 거주자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 산업 기반은 약하지만 고소득 거주민이 많은 과천시는 거주자 연봉도 높은 경향을 보입니다.
- 예시:
- 하남시는 주거 환경이 좋아 고소득 근로자가 거주하면서 거주자 연봉이 높습니다.
- 동두천시는 지역 산업 및 소득 구조와 거주자 연봉이 유사하게 낮습니다.
3.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 이유
근로자 연봉 > 거주자 연봉 | 거주자 연봉 > 근로자 연봉 |
- 대기업 및 고소득 근로자가 근무하지만, 거주하지 않을 때 | - 주거 환경이 좋아 고소득자가 이주해올 때 |
- 예: 성남시, 화성시, 과천시 등 | - 예: 하남시, 광명시 등 |
- 고소득 직장은 외부에 있지만 주거지로 선택한 경우 |
결론
- 근로자 연봉은 해당 지역의 산업 및 기업 구조를 반영하고,
- 거주자 연봉은 지역의 주거 선호도와 주민 구성을 반영합니다.
- 두 연봉의 차이는 특정 지역의 산업 중심지인지 주거 중심지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경기도 거주자 평균연봉 상위 5개 지역
순위지역거주자 평균 연봉 (만원)이유 및 분석
1 | 과천시 | 5,890 | - 고소득 인구의 거주지: IT 및 공공기관 고위직 종사자들이 많음. - 주거 선호도: 고급 주택단지 및 우수한 학군, 교통 여건(서울 접근성). |
2 | 성남시 | 5,250 | - 판교 테크노밸리 등 IT 및 스타트업 거점으로 근로자 소득 수준이 높음. - 분당 지역의 고급 주거단지가 고소득층 유입 요인. |
3 | 용인시 | 4,950 | - 교통 및 교육 인프라 발달: 강남 접근성 및 학군 인기. - 기흥·수지 지역 중심으로 전문직 종사자 거주 비율 높음. |
4 | 화성시 | 4,800 | -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등 대기업과 연계된 전문직 종사자들이 거주. - 신도시 개발로 고소득층 유입 증가. |
5 | 하남시 | 4,400 | - 미사강변도시 등 신도시 개발: 서울 강동구와 인접. - IT 및 금융 직종 종사자 거주 비율 높음. |
5. 경기도 근로자 평균연봉 상위 5개 지역
순위지역근로자 평균 연봉 (만원)이유 및 분석
1 | 과천시 | 6,131 | - 중앙 공공기관 및 대기업 본사: 관악산 주변에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 밀집. - 대기업 및 금융권 고위직 다수 근무. |
2 | 성남시 | 5,430 | - 판교 테크노밸리 중심의 IT 대기업 및 스타트업 다수. - 연구개발, IT 직종 등 고연봉 직군 비중이 높음. |
3 | 용인시 | 5,050 | - 대기업 연구소 및 공장: 삼성전자 기흥캠퍼스 등 고급 인력이 많은 산업 중심지. - 첨단 기술직 근로자 비율이 높음. |
4 | 화성시 | 4,900 | - 삼성전자 공장과 관련된 고연봉 직종. - 자동차 부품 및 반도체 제조 중심 산업구조. |
5 | 수원시 | 4,590 | - 행정 및 연구 기관 분포: 경기도청 소재지. - 연구개발 중심 기업 및 공공기관 근로자가 많음. |
3. 주요 분석: 연봉 상위 지역이 높은 이유
공통적 요인
- 기업 및 산업 중심지:
- 근로자 연봉이 높은 지역은 대기업 본사, 첨단산업, 공공기관 등이 몰려 있어 연봉 수준이 자연히 높아짐.
- 예: 과천시(공공기관, 금융권), 성남시(IT 및 스타트업), 화성시(반도체 제조).
- 주거 선호 지역:
- 거주자 연봉이 높은 지역은 주거 인프라(교통, 학군, 자연환경)가 우수해 고소득 근로자가 이주해 정착하는 경향.
- 예: 과천시(학군 + 자연환경), 하남시(신도시 개발 + 서울 접근성).
차별화 요인
- 근로자 연봉 상위 지역:
- 기업체와 공장이 밀집한 지역.
- 기술직, 연구직, IT 관련 고연봉 근로자가 많음.
- 근무지 중심 분석.
- 거주자 연봉 상위 지역:
-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
- 근무지가 다르더라도 서울 접근성이 좋아 고소득층이 거주.
- 생활 인프라 중심 분석.
결론
- 과천시와 성남시는 근로자와 거주자 연봉 모두 상위권에 속하는 지역으로, 산업 중심지이자 고소득 인구의 주거지로 기능합니다.
- 하남시와 용인시는 거주자 연봉에서 강세를 보이며, 신도시 개발과 주거 인프라 발달로 고소득 근로자들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 화성시와 수원시는 대기업 중심의 산업 구조로 인해 근로자 연봉이 높은 특징을 보입니다.
- 위 표에서 고소득 일자리는 있지만 고소득자가 거주 우선순위는 하남과 수원이 뒤바뀌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거주는 수원보다 하남이 선호도가 높고, 고소득 일자리는 하남에 비해 수원이 많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My Life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영끌족 전고점, 실거래가. (2) | 2024.12.31 |
---|---|
서울시 알아보기 (0) | 2024.12.16 |
오피스텔 바닥난방 면적제한 폐지. (2) | 2024.12.07 |
주상복합? (2) | 2024.11.27 |
금호역 근처 아파트 (0) | 2024.11.20 |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