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알아보기

반응형

https://www.seoul.go.kr/seoul/autonomy.do

 

서울특별시 서울소개

조직도, 자치구, 찾아오시는 길, 청사안내, 서울의 상징, 서울의 역사, 서울정보, 서울시청 선수단 소개등의 정보 제공

www.seoul.go.kr

 

이곳에 가면 서울 자치구별로 지도와 홈페이지가 나와있음.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2020000000

 

서울도시계획포털 :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도시기본계획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및 「도시·군기본계획수립지침」에 따라 토지의 이용·개발 및 보전에 관한 관련·하위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urban.seoul.go.kr

위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다운받을 수 있는 pdf에 보면 이런 지도 이미지도 있다.

 

그럼 서울시에서 각 구별로 평당가가 가장 높은 아파트는 어디일까?

구별로 상위 5개의 아파트를 고려해서 평당 평균가격을 검출하여 출력해 본 결과 아래와 같다.

순위구 이름평균 평당가 (만원) (GPT 활용)

1 강남구 11,800
2 용산구 10,500
3 서초구 9,800
4 성동구 8,700
5 송파구 7,500
6 마포구 6,500
7 광진구 6,200
8 양천구 6,000
9 동작구 5,800
10 서대문구 5,500
11 영등포구 5,300
12 강서구 5,100
13 동대문구 4,900
14 성북구 4,700
15 중구 4,500
16 종로구 4,300
17 관악구 4,100
18 은평구 3,900
19 강동구 3,700
20 구로구 3,500
21 금천구 3,300
22 중랑구 3,100
23 노원구 2,900
24 도봉구 2,700
25 강북구 2,500

 

혹시나 몰라서 아실을 참고해서 출력하도록 수정 해 봤다.

순위구 이름평균 평당가 (만원)

1 강남구 12,500
2 서초구 11,800
3 용산구 10,900
4 송파구 9,700
5 성동구 8,800
6 마포구 7,600
7 광진구 7,200
8 동작구 6,900
9 양천구 6,500
10 서대문구 6,200
11 영등포구 6,000
12 강서구 5,800
13 동대문구 5,500
14 성북구 5,300
15 중구 5,100
16 종로구 4,900
17 관악구 4,700
18 은평구 4,500
19 강동구 4,300
20 구로구 4,100
21 금천구 3,900
22 중랑구 3,700
23 노원구 3,500
24 도봉구 3,300
25 강북구 3,100

 

어느 값을 근거로 하냐에 따라서 순위의 변동이 있긴 하지만 1~5위까지의 순위권은 변함이 없다.

강남, 서초, 용산, 송파, 성동구.

6위~10위권에서도 순위의 변동은 있어도 순위권 내 목록은 변함이 없다.

마포, 광진, 동작, 양천, 서대문구

11위~15위권은 순위의 변동도 없고 순위권 내 목록도 변함이 없다.

영등포, 강서, 동대문, 성복, 중구

그냥 재미로 출력해본 데이터.

 

그러면 각 거주지역의 평균 연봉은 얼마일까? 

일자리(지역) 평균연봉이 아닌 실 거주자의 평균연봉을 생각해 보자.

서울시 각 구별 거주자의 평균 연봉 순위를 최신 자료를 기반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구 이름평균 연봉 (백만 원)

1 강남구 81.1
2 서초구 80.5
3 용산구 69.8
4 송파구 55.7
5 성동구 52.5
6 종로구 52.2
7 마포구 51.2
8 중구 49.5
9 양천구 49.4
10 영등포구 47.5
11 서대문구 44.6
12 강동구 44.2
13 동작구 44.2
14 성북구 42.2
15 광진구 41.8
16 노원구 41.2
17 강서구 40.5
18 동대문구 39.8
19 구로구 38.7
20 은평구 38.5
21 도봉구 37.2
22 관악구 36.8
23 중랑구 36.5
24 금천구 35.4
25 강북구 34.2

 

1~5위까지는 아파트 가격과 거의 동일한데 6위부터는 좀 다르다.

종로구(16->6),  중구(15->8)가 특히 눈에띄는데 이 말은 용산 바로 위인 종로구와 중구가

실 거주 만족도가 높다는 뜻 아닐까?

물론 자산과 연수입은 다른 의미이긴 하지만, 연 수입이 높을수록 어느정도는 상위급지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 해 보면 그런 생각이 들긴 한다.

(그냥 무조건 개인 생각임.)

그럼 종로구와 중구는 어떤 곳일까.

나중에 천천히 살펴보자.

 

서울시 각 구의 주택 점유 형태는 자가, 전세, 월세로 구분되며, 지역별로 그 비율이 다릅니다. 아래는 서울시 각 구의 자가, 전세, 월세 거주 비율을 정리한 표입니다:

       
자치구 자가 (%) 전세 (%) 월세 (%)
도봉구 60.2 20.1 17.0
노원구 51.1 22.4 23.7
양천구 50.5 28.0 19.1
은평구 50.3 27.0 19.3
구로구 50.0 23.1 24.1
성북구 47.1 25.1 23.7
강북구 46.3 24.5 26.0
중랑구 45.3 25.8 26.9
강서구 45.4 25.8 25.6
서대문구 43.6 25.1 27.6
동대문구 41.2 22.3 33.6
동작구 41.3 25.3 29.7
강동구 40.5 31.2 26.7
송파구 41.9 29.9 25.3
서초구 41.6 29.6 25.3
영등포구 41.3 25.9 29.2
마포구 37.7 26.5 32.1
성동구 37.9 27.2 31.8
광진구 35.6 28.1 33.4
용산구 35.3 28.6 30.9
관악구 33.3 24.8 38.9
강남구 32.0 26.2 38.7
금천구 43.1 21.8 31.1
종로구 39.6 19.5 35.1
중구 39.7 25.7 31.7

 

위 데이터는 상당히 예전 데이터고 참고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 내용이다.

gpt가 서칭에서 최신데이터를 찾아오지 못했고 해당 사이트를 참고하여 표로 정리한 듯 하다.

https://www.si.re.kr/node/60540?utm_source=chatgpt.com

 

서울의 부문별 지역격차 (2) 주거와 주택 | 서울연구원

 

www.si.re.kr

 

같이보기 좋은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wIZ2Z2meVbc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