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령, 그 여파는.
반응형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501655?sid=101&type=journalists&cds=news_media_pc
몇달 전 부터 국내 장이 힘들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잠깐이지만 삼성도 4만대를 찍었었고, 외국인 투자자가 계속해서 빠져나가는 중이었는데
여기에 급 가속을 박아넣은게 비상계엄사태.
외국인 뿐 아니라 국내투자자들 역시 국내장이 아닌 미주나 해외장으로 옮기기 시작하고 있고
여러 카페에 "국내 장 탈출은 지능순" 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고
"국내 장은 곡소리 뿐"이라는 말도 나온다.
내가 외국인 이라고 해도 비상계엄 터지는 나라에 투자를 하고 싶지는 않을듯.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398769?ntype=RANKING
비상계엄 선포와 같은 정치적 사건은 국내 경제뿐 아니라 국제 금융 및 국가 위상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다각도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제 금융 영향
- 자본 유출 가속화: 정치적 불안정은 외국인 투자자의 신뢰를 훼손하여 자본 유출을 증가시킵니다.
특히 금융업과 같은 민감한 업종의 매도세가 심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 환율 변동: 외환시장에서 원화 약세로 이어져 수입 물가 상승과 무역수지 악화 가능성을 증폭시킵니다.
- 국채 금리 상승: 신용 리스크 프리미엄 증가로 국채 금리가 상승하며 정부의 차입 비용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2. GDP 및 경제 성장
- 내수 침체: 정치적 불확실성은 소비와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내수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 국내 산업 경쟁력 약화: 외국인 투자 감소와 자본 유출로 주요 기업의 재무 안정성이 훼손될 수 있습니다.
- 성장률 하락: 이러한 요인은 연간 GDP 성장률을 0.5%포인트 이상 끌어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글로벌 위상
-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 국제 신용평가 기관들이 정치적 리스크를 이유로
국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투자 매력 저하: 한국은 안정된 정치 환경과 규범에 의존하는 경제 체제라는 이미지를 유지해야 하지만,
비상계엄은 투자자 신뢰를 크게 약화시킵니다. - 외교적 위상 약화: 주요 무역 파트너와의 관계에서 신뢰 저하로 이어져
글로벌 협력 및 무역 협정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정책적 대응 제안
- 긴급 경제 안정화 대책: 외환시장 안정 및 유동성 공급 강화.
- 외국인 투자 유치 노력: 투자 환경 개선 및 리스크 완화 방안 제시.
- 정치적 리스크 완화: 국제사회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투명한 커뮤니케이션 및 개혁.
'My Life > 경제 및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한달수입 (1) | 2024.12.28 |
---|---|
2월 이사 비용은... (0) | 2024.12.21 |
계엄령. 탄핵. (0) | 2024.12.03 |
대규모 구조조정. 불안하다. (0) | 2024.11.25 |
미국 대선. (5) | 2024.11.07 |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