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지금 한국 경제는?
mgun 뉴스레터
1. “한국 증시 시가총액 첫 3 000조 돌파”
키워드: #코스피 #시장신뢰 #증시호황
– 코스피·코스닥·코넥스 포함 국내 증시 전체 시가총액이 사상 처음으로 3 0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 더불어민주당은 이를 “한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확고해진 증거”라고 평가했습니다.
링크:
https://m.skyedaily.com/news_view.html?ID=278956
이 기사의 중요성:
과거: 2020년대 초 반복된 증시 급등락 이후, 시총 3 000조 돌파는 안정 궤도 재진입 신호.
현재: 개인·외국인 자금 유입 활성화, 투자 심리 회복.
미래: 증시 신뢰 회복 → 기업 자금조달 여건 개선, 소비·설비투자 확대 기대.
2. “한은 기준금리 2.50% 동결…미·가계부채 변수 주시”
키워드: #기준금리 #가계부채 #美관세리스크
– 7월 10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2.50%**로 전원일치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newstomato.com+1kedglobal.com+1m.skyedaily.com+1hankyung.com+1hankyung.comreuters.com+2reuters.com+2hankyung.com+2hankyung.com+1wowtv.co.kr+1
– 미국의 추가 관세 위협과 가계부채 급증, 서울 집값 급등(전년 동월 대비 19% ↑) 부담이 복합 작용했습니다.hankyung.com링크: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bank-korea-holds-interest-rates-steady-expected-2025-07-10/
[속보] 이창용 "기준금리 연 2.50% 유지, 전원일치 동결"
[속보] 이창용 "기준금리 연 2.50% 유지, 전원일치 동결", 강진규 기자, 경제
www.hankyung.com
이 기사의 중요성:
과거: 4월부터 두 차례 금리 인하 후 첫 ‘보수적 휴식’.
현재: 가계부채·주택시장 과열 안정 → 금융 안정에 우선순위.
미래: 하반기 성장 둔화 시 금리 인하 여지 ↑, 관세 리스크 지속 시 유동성 정책 변화 가능.
3. “미국 관세 위협과 부동산 호황에 복잡해진 한은의 딜레마”
키워드: #관세위기 #부동산버블 #통화정책
– FT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대(對)한국 25% 관세 부과 위협과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택시장 과열이 맞물리며,
한국은행이 금리 정책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ainvest.com+4reuters.com+4reuters.com+4
– 1분기 경제는 수출 위축으로 마이너스 성장, 경기부양 필요성 커짐 → 재정 및 구조 개혁 병행 정책 제안 나옵니다.
링크:
https://www.ft.com/content/11e262f0-5461-40d3-951f-933b211c40d7
이 기사의 중요성:
Seoul’s property boom and US tariffs put Korean central bank in a bind
Policymakers fear cutting borrowing costs to boost economic growth could drive capital’s real estate prices higher
www.ft.com
과거: 과거 외환위기·글로벌 금융위기 경험에서 볼 때, 경착륙 대응은 금리·환율·재정 동시 활용.
현재: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 시 ‘부동산 버블 경고’를 피해야만 하는 딜레마.
미래: 관세 결정, 주택시장 안정 여부에 따라 금리·재정·규제 소재지 정책 조정 가능성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