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랙 (slack) 사용하기기 (with zapier)
회사에서 사용하는 사내 메신져가 늘 그렇듯, 사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다 보니
초반에는 이미 개발이 완료되어 사용중인 메신져보다 불편하고 기능이 적고, 버그가 많을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사람들이 , "아 우리 회사도 슬랙이나 사용하지" 라고 하길래 뭔지 찾아봤다.
예전 첫 회사때는 "드림위즈 지니" 를 사용했던거 같고, 그 다음에는 "버디버디"를 사용했다.
그리고 나서는 "네이트온"을 사용했고 지금은 또 다른 이름의 사내 메신저를 사용하고 있다.
지금 사용중인 메신저는 완전 사내전용이라, 직접 개발해서 초반에 이슈가 꽤 많았다.
지금도 꾸준히 이슈는 나오고 있긴 하지만...
아무튼 슬랙이라는 것을 좀 알아보자.
AI 업무 관리 및 생산성 도구
업무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세상, Slack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업무용 운영 체제에 인력, 프로젝트, 도구, AI를 한데 모아보세요
slack.com

웹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위와 같이 출력되는데 아래에 쿠키 관련 내용이 나온다.
쿠키 관련 설정이 나오면 왜 거부감 부터 드는 걸까....
pc app, mobile app이 제공되고 있다.

슬랙은 소통(커뮤니케이션)을 강조된 협업 메신저 인데 외부게스트를 초대할 수 있고
프로젝트별로 채널, 워크스페이스를 개설할 수도 있다.
허들(화상회의), 클립(동영상 공유), 캔버스(텍스트 문서 작업)등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강화 할 수 있다.
https://app.slack.com/plans/T08V17TL950?geocode=ko-kr
Slack
nav.top { position: relative; } #page_contents > h1 { width: 920px;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 h2, .align_margin { padding-left: 50px; } .card { width: 920px; margin: 0 auto; .card { width: 880px; } } .linux_col { display: none; } .platform_i
app.slack.com
각 버전(무료, pro, 비즈니스등)에 대한 기능 제한이 나와있는데 내가 사용하는 무료 버전의 제한을 좀 살펴보면,
메시지 및 파일내역 90일 동안 액세스 할 수 있고 허들과 외부 사람들과 협업이 1대1만 가능하다.
캔버스도 채널, DM에서만 사용가능하고 그 외 템플릿, 사용자 지정 가능 섹션, 아틀라스, ai 등의 사용이 제한된다.
수많은 다른 앱과의 통합이 강점인 슬랙이 무료버전에서는 10개로 제한된다.

필요한 기능이 있다면 그 기능에 맞게 업그레이드를 하면 된다.
일단 무료평가판으로 기능을 좀 사용해 보자.
여태 진행했던 방식 그대로 재피어에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액션을 추가 해 준다.
(zapier 설정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
Zapier 활용하기
Zapier AI Action은 GPT에게 특정 앱에서 액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이를 활용할 수 있는것들은 뭐가 있을까?내가 자주 사용하는 것 중 구글캘린더가 있는데 이를 연동해 보자. https://actions.zapi
mgun.tistory.com

요렇게 진행하면 된다.
이러면 이제 제피어 에서 슬랙에 접근 할 수 있다.
지침에는 적당히 원하는 내용이나 메세지 양식을 작성 하고 마지막에는
REQUIRED_ACTIONS:
- Action: Slack Send Direct Message
이런식으로 작성해 주면 된다.
슬랙에 가 보면 아래와 같이 제피어가 추가되어 있다.

gpt로 zapier을 통해 슬랙으로 보낸 내용이정상적으로 등록되는것을 볼 수 있다.
